(2) 차세대 가상공간 서비스 '메타버스', 블록체인과의 관계 요약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2) 차세대 가상공간 서비스 '메타버스', 블록체인과의 관계 요약
* 이 글은 2회로 나누어 정리한 자료이다.
<앞편에 이어서>
4. 메타버스 구상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장점
이와 같이, 완전한 메타버스 실현을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은 필요 불가결할 정도로 중요시되고 있다. 그래서 메타버스 구상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메리트에 대해 설명해 보자.
4-1. 방대한 연산처리를 분산이 가능
메타버스의 요소 「무한한 가상세계」 「상시의 라이브 상태」 「인원 무제한의 동시 접속」를 실현하려면 , 방대한 연산처리의 자원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처리작업 분산에 적합하며, 예를 들어 최종사용자에게 단말기의 빈 자원을 제공하는 등의 연산처리를 분산할 수 있다.
블록체인으로 처리작업을 분산시키는 사례로는 GPU에 의한 렌더링 작업을 최종사용자에게 분산해서 자원을 확보하는 프로젝트 'Rendertoken'이 유명하다. Rendertoken에서는 렌더링에 기여한 사용자에게 보상 토큰을 발행하여 작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4-2. 경제성을 활성화시키는 인센티브 설계
메타버스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사용자 수가 많을수록 이용하기 쉽고, 출시 직후에는 좀처럼 이용자가 모으기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모여 있지 않은 초기 단계의 메타버스에서도 경제성을 가지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마이닝에서는 초기의 마이너가 고액의 이익을 얻은 것처럼 블록체인은 빨리 시작하는 편이 보다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인센티브 설계가 가능하다.
초기로 경제성이 작은 시기에 참가하는 것으로, 약간의 노력·자금으로 많은 보수를 손에 넣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다.
4-3. 'P2P'로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자유롭게 매매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메타버스에서는 아이템이나 통화의 소유권은 운영자가 모두 가지고 사용자가 그것들을 사용할 뿐이라는 구도였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 'P2P 네트워크' 'NFT'를 활용하면 메타버스 내에서 중앙을 통하지 않는 사용자들 간의 상거래를 할 수 있어 자립적인 경제권을 구축할 수 있다.
P2P는, 특정의 클라이언트를 가지지 않고 각 단말기가 대등·직접에 통신해,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 공유등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NFT는 아이템이나 레어캐릭터와 같은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실제로 소유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4-4. 데이터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P2P등에서 하는 사용자 사이의 상거래에 신뢰성·투명성을 갖게하는 기술이, 계약 행동을 프로그램화해, 자동적으로 실행을 시도하는 구조 「스마트 컨트랙트」이다. 예를 들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계약을 성립시키거나 부정을 자동 인지하는 등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이 있다.
이로써 중앙을 거치지 않는 직거래라도 만반의 보안대책을 확보할 수 있고, 안심할 수 있게 된다.
5. 메타버스 구상 블록체인 프로젝트
마지막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완전한 메타버스 구상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중에서, 주요한 것을 소개해 보면,
5-1. The Sandbox(샌드박스)
샌드박스는 2020년에 출시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게임 시스템이다. 플레이어는 자신만이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NFT 에셋을 구축하여 자유롭게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는 「VoxEdit3D」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동물이나 탈것, 도구라고 하는 NFT 에셋을 작성해, 「SandboxNFT 마켓플레이스」로 자유롭게 매매를 할 수 있다. NFT를 통해 사용자는 구입한 에셋의 완전한 소유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샌드박스 이외의 게임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어 자신이 독자적인 3D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탑재되어 있다.
샌드박스의 네이티브 토큰 'SAND'는 샌드박스 내에서 출시된 토지, 캐릭터 및 아이템 거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2022년 1월 시점에서, SAND는 토큰 당 3.3달러로 거래되어 시가총액은 약 30억달러이다.
샌드박스 내에서는 SAND 이외에도 가상공간의 토지 "LAND"와 아바타 장비 등의 "ASSET"와 같은 토큰을 사용한다.
메타버스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대기업들도 샌드박스를 계기로 시장 진출기회를 엿보는 모습이다. 샌드박스는 소프트뱅크그룹이 운영하는 펀드 「Vision Fund 2」가 주도하는 자금조달 라운드에서, 100억엔(9,300만달러)를 조달하였다. 조달한 자금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확대, 패션이나 건축, 가상 콘서트등의 가상영역에 보충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의 유명한 래퍼 Snoop Dogg와의 콜라보도 실현하고 있다. Snoop Dogg와 콜라보 한 버추얼 토지(랜드)가 상당금액에 낙찰된 것도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5-2. Decentraland (디센트럴랜드)
디센트럴랜드는 2015년 말부터 개발이 시작된, 가장 역사가 길다는 메타버스 구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리이다. 이 역시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사용자는 토지구획, 부동산, 옷, 이름 등을 NFT로 구입할 수 있다.
디센트럴랜드 내에서 유통되는 통화는 'MANA'라는 토큰으로 모든 액티비티에 사용 가능하다. 2022년 1월 현재 MANA는 토큰당 2.2달러으로 거래되며, 시가총액은 약 40억달러이다.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이 플랫폼에서는 「Agora」라고 하는 투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디센트럴랜드의 미래르 위한 방향을 사용자의 투표로 결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중심의 정치적 시스템에 대한 대처는, 완전한 메타버스의 실현에 가까워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021년에는 Decentraland를 둘러싸고 다양한 움직임이 있었다. 2021년 11월, 카리브해의 섬나라 바르바도스(Barbados)가 Decentraland 상에 버추얼 대사관을 설립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또, 같은 달 「메타토쿄(Meta Tokyo)」가 Decentraland에 팝업 박물관를 건설한 것이 밝혀졌다.
그 직후에는, 주로 분산형 금융(DeFi) 영역에 투자를 하는 캐나다 기업 「Tokens.com」가 30억원 상당의 LAND(토지)를 매입해, 이 금액은 가상공간의 토지 매입에 있어 사상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5-3. Axie Infinity (액시 인피니티)
Axie Infinity는 베트남 게임 스튜디오 Sky Mavis가 개발한 NFT의 캐릭터를 육성하고 싸우게 하는 블록체인 게임이다.
게임 내에서 획득한 AXS는 현지 법정통화로 변환이 가능하고, 스테이킹도 가능하며 AXS를 락업하여 보상 AXS 토큰을 얻을 수 있다. AXS는 게임 내에서 이용되는 거버넌스 토큰이다.
또한 'Small Love Potion(SLP)'이라는 게임 내 통화도 있으며 FTX, 바이낸스 등의 거래소에서 다른 암호화폐와 교환이 가능하다.
2021년의 트랜드가 된, 게임을 플레이 해, NFT나 암호화폐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Play-to-Earn」 「GameFi」의 대표격으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베트남이나 필리핀, 브라질등의 신흥국에서는, 생활을 지탱하는 귀중한 수익원이 되기까지 했다.
5-4. Enjin(엔진)
NFT 게임 플랫폼 개발 등을 맡고 있는 엔진은 게임을 플레이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생태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엔진은 향후, 메타버스나 멀티버스라고 하는 새로운 장르의 대두를 바라보며, 게임 외에서도 게임으로 사용한 디지털 아이템의 매매 및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NFT 게임에 있어서의 플레이의 폭과 가능성을 펼쳐 갈 방침이다.
엔진이 제공하는 "JumpNet(이더리움과의 브리지 기능을 가지고 중개자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과 "Efinity(메타버스의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는 게임과 NFT에 특화되어 있어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편리한 생태계를 지향한다. 또한 개발자는 직접 거래수수료를 설정하여 마켓플레이스에서 아이템이 거래될 때마다 자동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회사가 발행하는 암호화폐로, Enjin 생태계 상에서 NFT 거래 등에 이용되는 엔진코인(ENJ)은, 일본의 거래소에서는 2021년 1월에 코인 체크로 첫상장을 하고, 그에 뒤따르는 형태로 GMO 코인과 OKcoin Japan, DMM 비트 코인에도 상장했다.
5 - 5 . Metaani
일본의 경우 메타버스(가상공간) 프로젝트로서는, 크립토 아트 프로젝트 「Metaani」의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한다. 2021년 10월에는, 10,000체의 한정 세일을 시작한 VR대응 「Mettani GEN」의 Mint(민트)시스템이, 전문가 등으로부터 반향을 일으킨 적이 있다.
「Mint(민트)」란, 이더리움등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해, NFT를 신규 작성·발행하는 것이다. 마음에 드는 NFT 아바타를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상에서 크리에이트 한다고 하는 가까운 미래적인 새로운 체험으로 연결되어 있다.
6. 메타버스가 개척하는 암호화폐와 게임의 미래
블록체인과의 융합에 의해 완전한 메타버스는 이제 실현에 가까워지고 있다. 포괄적인 룰 규제 등 과제도 많으며, 메타버스 시장이 향후 어떻게 변화해 나갈지는 아무도 모릅다. 그러나, 메타버스 시장에 투자·참가하는 움직임은 일정 기간은 계속될 것이다.
(1) 차세대 가상공간 서비스 '메타버스', 블록체인과의 관계 요약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