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흔들리는 유럽의 「원자력 발전소」 논의는 어떻게 되는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흔들리는 유럽의 「원자력 발전소」 논의는 어떻게 되는가?

기후변화 대응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 발전이 큰 주목을 받고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불안정한 국제정세로 인해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게 되는 등 유럽의 원자력 정책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그런 유럽의 원자력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논의를 국제관계를 전문으로 하는 독립형 싱크탱크인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가 분석했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2021년 11월에 원자력 발전을 확대할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2022년 2월에는 2050년까지 최대 14기의 원자로를 새로 건설하자는 구체적 방안을 공개했다. 이를 보도한 영국의 신문인 The Guardian에 따르면, 프랑스 자국내의 모든 원자력 발전을 소유한 프랑스전력이 최소 6기의 원자로를 새롭게 건설하기로 정해져 있는 것 외에도, 추가로 8기의 건설계획이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마크롱 대통령은 취임 초기에 공약으로 내세웠던 탈원전 방침을 크게 전환한 이 발표를 '프랑스 원자력 산업의 르네상스'라고 규정하고,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을 없애 2050년까지 탈탄소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기후변화 대책 외에도 지정학적인 이유에서도 원자력이 재평가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에너지 문제에 따라 벨기에는 2025년의 폐기하기로 정해져 있던 원자로 2기의 가동기간 연장을 발표했다. 또 핀란드도 40년 만에 원자로 원자로가 신규 건설되어 새롭게 가동에 들어갔다.

유럽 각국이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 및 증설을 서두르고 있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CFR에 따르면 EU가 수입하는 석탄 및 고형연료의 47%, 천연가스의 41%, 원유의 27%가 러시아산이라는 것.

따라서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제재 보복으로 러시아가 EU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차단할 경우 심각한 에너지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음은 EU에서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현황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가동 가능한 원전을 보유한 국가가 진한 오렌지 색이며, 재가동이 검토되고 있는 원전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가 연한 오렌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EU의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현황

EU가 원자력 에너지의 재검토를 진행시키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CFR는 「EU 국가들의 약 절반이 원자력 발전소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원자로는 풀가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 원자로의 발전량은 비교적 빨리 늘릴 수 있다. 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유럽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제안한 해결책 중 하나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EU 중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추진에 반대하는 자세를 바꾸지 않은 나라도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자국내 원자로의 전부를 폐기하기로 결정한 독일에서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원자로 폐기 기한을 연장하는 방안이 부상했지만, 최종적으로 기각되었다.

독일 외에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포르투갈 등도 원전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CFR는 전했다. 이러한 나라들에서는 원전건설과 유지에 드는 비용이나 방사성 폐기물 문제가 원전반대의 주된 원인이라고 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또 원자력 재해에 대한 우려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군에게 점령당한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원자력 발전소에서는 통신이나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사태가 발생했으며, 우크라이나에 있는 유럽 최대의 원전인 자폴리자원자력발전소에서는 러시아군의 포격에 의한 화재도 발생하기도 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