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삼림욕'은 실제 삼림욕과 동일한 수준의 피로회복 효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디지털 삼림욕'은 실제 삼림욕과 동일한 수준의 피로회복 효과!
바쁜 스트레스 사회에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삼림욕을 통해 심신의 피로를 회복하고 싶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코로나의 영향이나 도심에서의 생활은, 실제로 숲으로 발길을 돌리기 어려운 사람도 많다.
그래서 일본 삼림종합연구소에 소속의 연구팀은, 실내에 삼림의 풍경·소리·향기를 재현한 「디지털 삼림욕」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삼림욕에는, 실제의 삼림욕에 가까운 수준으로 생리·심리적인 피로 회복 효과가 있다고 판명되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2022년 1월 21 일자의 학술잡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게재되었다.
'디지털 삼림욕'으로 도심에서도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삼림의 풍경·소리·향기를 재현한 「디지털 삼림욕」/Credit:타카야마 노리노리(삼림종합연구소) 등,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2022)
디지털 삼림욕이란 실내에 디지털 삼림을 만들어내 일정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디지털 삼림욕에서는 실내의 벽이나 천장에 삼림의 영상을 비추어준다.
또 삼림의 소리를 BGM으로 깔고, 식물에서 만들어진 아로마 오일로 삼림의 향기를 가득 채운다.
진짜 식물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서나 쉽게 삼림을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한 것이다.
그럼 이 디지털 삼림욕에는 과연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일까?
실험에는, 공모로 선택된 25명(남성 12명, 여성 13명)이 참가하였다고 한다.
디지털 삼림욕을 20분 정도 체험한 전후로, 생리적인 7개의 항목(혈압이나 심박수, 부교감신경 활동등)과 심리상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디지털 삼림욕 체험 중에, 부교감 신경 활동의 상승과 심박수의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교감신경은 자율신경을 구성하는 신경의 하나로 신체의 활동성을 낮추고 편안하게 하거나 회복모드로 만들어 준다.
예를 들어, 식사 중이나 식사 후, 수면 중에는 부교감신경이 우위에 작용하고 있다.
디지털 삼림욕으로 이 활동이 상승했다고 하는 것은, 디지털이라도 생리적인 휴식·회복효과가 인정되었다는 것이다.
또 디지털 삼림욕의 체험 후에는, 참가자들의 부정적인 감정(긴장, 불안, 우울, 분노, 피로)도 감소했다.
20분 정도의 디지털 삼림욕을 하면 심리적인 회복 효과도 있었던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과거의 실험으로 제출된 「실제 삼림욕의 효과」와 이번 「디지털 삼림욕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 삼림욕의 회복효과는, 실제 삼림욕의 회복효과와 거의 같은 정도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록 디지털이라고 하더라도 우리가 원하는 '삼림욕의 효과'를 상당 부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디지털 삼림욕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지역, 병원, 노인 의료시설에 설치한다면 그 지역이나 시설에서 부족한 '휴식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삼림욕"이 일상의 스트레스를 저감한다!! - 산림환경이 재현된 실내체험이 주는 심신의 피로회복 효과-
http://www.ffpri.affrc.go.jp/press/2022/20220301/index.html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