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령자가 한밤중에 잠을 깨어 버리는 원인은 졸음증(기면증)의 뒤집힌 반대현상이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1) 고령자가 한밤중에 잠을 깨어 버리는 원인은 졸음증(기면증)의 뒤집힌 반대현상이었다!
고령자가 한밤 중에 몇번이나 눈을 뜨거나 아침 일찍 깨어 버리는 원인이 밝혀졌다.
미국 스탠포드대학(Stanford University)에서 행해진 새로운 연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한밤중에 깨어나는 원인이 되는 신경세포의 이상을 쥐로 특정해, 수정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노화에 따른 수면장애(밤중에 깨어나는 등)는, 쥐나 인간 등 폭넓게 동물에게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지금까지 원인은 불명확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원인이 되는 신경세포의 특정」 「일어나고 있는 이상현상의 해명」 「약에 의한 치료」의 모든 것이 세트가 되어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가치가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대체 무엇이 원인이 되어 고령자는 「한밤중에 갑자기 깨어난다」고 하는 기묘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일까?
자세한 연구내용은 2022년 2월 25일에 『Science』에 게재되었다.
◇ 한밤중에 갑자기 깨는 것은 졸음증(기면증)의 뒤집힌 현상이었다
한밤중에 갑자기 깨는 것은 나르콜렙시(narcolepsy, 졸음증)의 뒤집힌 현상이였다
노화에 따른 수면장애는 누구나 언젠가는 경험하게 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일어나는 시간도 아닌데 한밤중에 깨어나는 증상(중도각성_中途覚醒)이다.
그리고 한밤중에 갑자기 깨어나면 종종 다시 잠자리에 드는 것이 곤란해져, 수면시간 부족을 초래한다.
이 이상한 현상을 설명하는 말로 자주 듣는 것은 '잠에도 체력이 필요하다'는 설이다.
물론, 수면 사이클 등 몸의 리듬을 관장하는 기능은 노화에 의해 쇠약해진다.
그러나 수면과 각성의 현장이 되는 뇌 안에서 실제로 어떤 변화가 있고, 한밤중에 깨어남을 일으키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였다.
그래서 이번에 스탠포드대학의 연구자들은 의외의 접근을 하기로 한다.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낮에 돌발적인 졸음을 일으키는 나르콜렙시(narcolepsy, 졸음증)이었다.
'졸음증(기면증)'과 '밤중의 깨어남'은 전혀 무관한 것 같지만 양쪽 모두 수요와 무관한 '돌발성'이라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졸음증(기면증)은 낮에 수면시간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돌발적으로 잠에 빠져 버리는 증상이다.
한편, 노화에 따른 수면장애는 수면시간이 부족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밤중에 돌발적으로 깨어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두 증상이 같은 현상의 겉과 뒤의 관계(동전의 양면처럼)에 있다는 발상에 이르러 실증을 하게 된 것이다.
드문 증상으로 알려진 '졸음증(기면증)'은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밤중의 깨어남'과 정말 표리관계에 있었던 것일까?
◇ 뇌세포가 과민화하여 '각성신호의 조루'를 일으킨다.
새벽에 깨어나는 현상은 '졸음증(기면증) 뒤면의 모습인가?
해답을 찾기 위해 연구자들은 우선 젊은 건강한 쥐와 늙은 쥐의 수면상태를 알아냈다.
그러면 늙은 쥐도 인간의 고령자와 마찬가지로 수면의 단편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명되었다.
노화에 따른 수면의 질의 악화는 인간과 쥐 모두 공통된 현상이었다.
※일반 쥐의 수면시간은 낮이다.
다음으로 연구자들은 쥐의 뇌세포 오렉신뉴런의 활성도를 조사했다.
오렉신뉴런의 기능은 각성상태 유지에 필수적이며, 이 뉴런에 심한 흠결이 있는 사람들은 '나르콜렙시(졸음증)(1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늙은 쥐의 뇌 내에서 오렉신뉴런이 반대로 과잉생산되고 있으면, 졸음증(기면증)과 반대되는 수면 중에 갑자기 깨어나는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고 있는 파스이다.
그런데 의외로 결과는 거꾸로 나왔다.
늙은 쥐의 뇌 속에서는 '올렉신뉴런'의 수가 늘어나기는커녕 최대 38%나 상실된 것이다.
즉 오렉신뉴런의 수만을 생각하면, 늙은 쥐는 각성에 필요한 세포를 잃었으니까, 보다 잠들기 쉬워졌을 것이고, 깨어나기 쉬워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뇌 과학에서 세포의 절대 수의 적음은 반드시 활동량 하락으로 이어지지는 않다.
실제 연구자들이 늙은 쥐의 오렉신뉴런의 전기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활성화의 '임계치'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칼륨 이온 채널이 감소하여 충분한 분극을 할 수 없으며, 항상 발화 임계값 근처에 있었다)
즉 늙은 쥐의 각성을 담당하는 뇌세포는 수는 줄어 있었지만 과민상태가 되어 있어 약간의 자극에 대해서도 뇌에 각성신호를 보이게 되어 있었다.
쥐와 같은 구조가 인간에게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고, 인간의 노화에 수반하는 한밤중의 갑작스런 깨어남 또한 뇌세포의 과민화와 「각성신호의 조루」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루는 원래 사정장애를 가리키는 의학용어로, 모욕적인 의미가 아니다.
그럼 만약 이 "각성신호의 조루"를 방지할 수 있으면 한밤중에 갑자기 깨어나는 역졸음증(역기면증)도 없어지는 것일까?
(뒤편에 계속)
(2) 고령자가 한밤중에 잠을 깨어 버리는 원인은 졸음증(기면증)의 뒤집힌 반대현상이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