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는 미국 정치의 양극화를 어떻게 일으켰나?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소셜 미디어는 미국 정치의 양극화를 어떻게 일으켰나?
정치에서 사람들의 의견이 보수적인 생각을 중시하는 우익과 혁신을 중시하는 좌익이라는 두 파벌로 나뉘는 것을 정치적 양극화라고 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정치 양극화가 소셜 미디어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그 진위를 신문사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조사한 바 있다.
미국에서는 2020년 미합중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 양극화가 그 어느 때보다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WSJ의 설명이다. 이러한 원인이 소셜 미디어에 있다고 지적하는 연구가 많이 있으며, 많은 정치학자가 「소셜 미디어에 의해서 미국의 정치가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염려하고 있다고 WSJ는 보도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양극화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 듀크대학의 사회학 교수 크리스토퍼 베이르는 「대통령 선거가 가까워짐에 따라, 사람들이 보고 듣는 것에 Google나 Facebook이라고 하는 소셜 미디어의 강한 힘이 영향을 주어, 양극화가 촉진되고 있을 가능성이 지적하고 있다. 이대로 장기적으로 양극화의 경향이 계속 되면, 전례 없는 만큼 미국이 정치적으로 분단 될지도 모른다」라고 말하였다.
그는 또, 미국에서 정치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부터, 「소셜 미디어가 정치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하는 문제를 해명하는 것이 긴급성을 띈다고 있다고도 한다.
소셜 미디어에 의해 양극화가 어떻게 촉진되고 있는지,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사람들의 시점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정량화하는 것은 하나의 연구테마로서 주목받고 있다.
소셜미디어에 의해 양극화가 촉진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이유 중 하나는 영향력이 강한 소셜미디어가 사람들의 사상에 맞는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만으로 쉽게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한다.
WSJ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는 알고리즘을 변경해 각 사용자들이 동의할 수 없는, 서로 다른 사상에 대한 정보도 많이 보여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한다.
그리고 베일 교수는 「전체적으로 보고, 소셜 미디어가 우리를 양극화시킬지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정치 양극화에는 소셜 미디어뿐 아니라 지리적인 요인이나 정당의 변화, 신문이나 텔레비전 같은 다른 미디어 등 매우 많은 요인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베일 교수는 말했다.
원래, 소셜 미디어가 실제로 정치적 양극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베일 교수는 말한다.
예를 들어 미국 정치에 있어서 페이스북의 영향력을 조사하려면 일정 기간 미국 전체에서 페이스북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서 정치적 양극화에 어떤 영향이 나타날지를 조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페이스북과 같은 거대한 소셜 미디어를 정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치의 양극화를 정량화하는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노스웨스턴 대학의 연구팀에 의해서 발표된, 소셜 미디어에서의 사람들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한 실험에서는, 전문가가 지적한 것처럼 「동의 할 수 없는 컨텐츠를 유저에게 보인다」라고 하는 대책은 정치의 양극화를 억제할 수 없고, 오히려 다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의사와 다른 정보에 노출되는 시간이 늘어난 경우 사용자의 감정이 나쁜 방향으로 증폭되어 유해한 영향을 낳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싼타페 연구소의 응용수학자인 비키 츄캬오 얀에 의한 연구에서는, 정당 자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극화가 진행된 모습이 시뮬레이션 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당은 보다 과격한 유권자를 상대함으로써 온건파를 상대하는 것보다 유리한 전략을 취해 왔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이 과격한 유권자를 계속 우대한 결과가 양극화의 요인이라고 비키 츄캬오 얀은 지적하고 있다.
즉, 비키 츄캬오 얀의 시뮬레이션이 시사하고 있는 것은 소셜 미디어만이 미국의 정치적인 양극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현상들이 서로 작용한 결과, 양극화를 진행하는 큰 힘이 생겼다는 것이다.
또,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유권자도 일정수 있는 것도, 소셜 미디어가 양극화의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이유가 된다.
그리고 노스웨스턴대학의 연구팀이나 비키 츄캬오 얀의 연구결과는 어디까지나 가설에 지나지 않고, 새로운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베일 교수는 지적하고 있다.
또, WSJ는 소셜 미디어가 양극화의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하면서도, 양극화를 조금이라도 피하기 위해서, 적어도 선거의 전후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을 가능한 한 자제할 것을 권하고 있다.
Why Social Media Is So Good at Polarizing Us - WSJ
https://www.wsj.com/articles/why-social-media-is-so-good-at-polarizing-us-11603105204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