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술에 살이 찐다' 여부는 술의 종류에 따라 달라, 적포도주는 오히려 내장지방 감소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도

'술에 살이 찐다' 여부는 술의 종류에 따라 달라, 적포도주는 오히려 내장지방 감소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도

술을 마시면 살이 찐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한목소리로 말하는 술이라고 해도 맥주, 스피리츠, 와인 등 다양한 것이 있다. 

새롭게 아이오와주립 대학등이 행한 연구에서는, 「내장지방이 증가하는지 여부는 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 나타났다고 하여, 논문의 저자인 브리타니 라센의 연구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라센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75%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조사 결과를 들어 체지방이 많은 것은 심혈관 질환이나 암과 같은 위험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비만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알코올은 이전부터 비만의 원인의 하나로 간주되어 온 한편으로, 「알코올에는 장점도 있다」라는 정보도 많이 퍼지고 있다. 

이에 대해 라센은 문헌에 따라 알코올에 관한 연구 결과가 다른 이유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맥주·레드 와인·화이트 와인·샴페인·스피리츠등을 단일한 「알코올 음료」로서 취급해, 개별의 차이를 구별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라센 등은 여러 종류의 알코올과 비만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영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인 UK바이오뱅크(UK Biobank)에서 40~79세까지의 백인 1869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데이터에는 인구통계학적 정보, 알코올 섭취 습관, 식사, 라이프 스타일과 같은 항목이나 신장, 체중, 혈액샘플 외에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XA/이중에너지 X선 흡수측정법)에 의한 신체조성정보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분석결과 맥주나 스피리츠의 소비량이 많은 것이 내장지방의 증가와 관련된 것을 알 수 있었던 반면, 화이트 와인의 소비는 내장지방의 증가와 관련되지 않았으며, 레드와인은 소비량이 많을수록 내장지방의 감소와 관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이트와인은 내장지방의 감소와는 관련되어 있지 않지만, 적당히 화이트와인을 마시는 노인에서는 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비백인이나 기타 민족 그룹에 속하는 고령자나 중장년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알코올음료의 종류나 건강에 대한 영향의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라슨은 우리의 다음 단계는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해 알코올 소비를 포함한 식사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계획임을 밝혔다고 한다.


Beer, wine, and spirits differentially influence body composition in older white adults – a United Kingdom Biobank strudy - Larsen

https://doi.org/10.1002/osp4.598


Beer and spirits have more detrimental effects on the waistline and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an red or white wine

https://theconversation.com/beer-and-spirits-have-more-detrimental-effects-on-the-waistline-and-on-cardiovascular-disease-risk-than-red-or-white-wine-179176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