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지나치게 실패를 두려워하고 소극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의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지나치게 실패를 두려워하고 소극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의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옛부터 사람의 행동에는, 「보상」과 「처벌」은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소극적인 사람은 실수나 벌칙을 지나치게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소극성은, 불안이나 우울 등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

그럼 이러한 소극적이 되어 불안을 갖고 사는 사람의 뇌 내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해서, 국립연구개발법인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등의 연구그룹은, 벌칙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한 사람은, 불안이나 우울등의 부정적인 감정제어에 관련되는 전두엽뇌기능 네트워크의 기능이 약하고, 세로토닌 2A수용체 밀도가 낮다고 밝혔다.

이러한 인간의 행동억제계에 관한 뇌의 작용과 불안증상과의 관련성을 나타낸 것은 이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에 의한 보고는, 2022년 1월 10일자에 과학 잡지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 게재되어 있다.


◆ 소극적인 사람일수록 부정적인 감정을 제어하는 뇌내 네트워크가 취약하다.

이전부터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행동은, 주로 「보상에 대한 접근」과「처벌의 회피」의 2개로 크게 구분된다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인 보상에 대한 접근은 '목표달성이나 보상획득을 위해 행동을 활발하게 하는 계통', 후자인 처벌의 회피는 '처벌이나 손해를 회피하기 위해 행동을 억제하는 계통'과 같은 두 가지 동기부여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이 중, 후자인 「행동을 억제하는 계통」은 불안이나 우울이라고 하는 네거티브 감정과 관련되지만, 그런 데도 뇌내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뇌내에 넓게 분포하는 「세로토닌 2A수용체」는, 네거티브 감정의 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세로토닌:중추신경계에 있는 신경전달물질로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을 제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것이 저하되면 불안이나 우울증이 발병한다)

이번,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는, 행동 억제계의 뇌내 메카니즘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조사를 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에게 협력을 얻어, 앙케이트 검사에 의한 벌칙 회피나 불안 경향의 수준측정과 PET 검사에 의한 세로토닌 2 A수용체의 밀도의 측정, 그리고 fMRI에 의한 뇌활동을 측정했다.

(PET: 포지트론 단층 촬상법. 전용장치로 양전자를 검출함으로써 다양한 병태나 생체 내 물질의 움직임을 이미지화하는 기술)


설문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이 확실하지 않을 때, 그것을 원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까?

 - 새로운 상황이나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해 자주 불안해 하십니까?

 -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일이나 과제가 있을 때, 그것이 잘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매우 신경쓰입니까?

 - 곤란한 상황 하에서는, 당신은 대개 약해지나요?

 - 당신은 자신이 한 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에 대해 생각하고 있으면,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까?

 - 자신이 말한 것이나 혹은 한 것에 자주 걱정이 됩니까?

 - 일반적으로 즐거운 일보다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에 더 관심을 기울입니까?

 - 부끄러운 생각이 들지 않도록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나을까요?


그러자 설문조사에서 처벌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던 사람일수록 절망감과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ET 및 fMRI 검사 결과 처벌 회피나 불안경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네거티브 감정을 제어하는 뇌기능 네트워크가 약하고 전두엽의 세로토닌 2A수용체의 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동억제계에 관해 뇌 안에서 일어나는 것을 분자 차원에서 밝힌 최초의 연구이다.

이 연구의 성과로 불안이나 우울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세로토닌 신경전달 기능을 조절하는 약제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자주 불안이나 우울증을 가진 사람은 무엇을 하기에도 귀찮거나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는 상황있는데, 이것도 뇌에서 행동억제계가 지배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원인일 수도 있다.


지나치게 실패가 두려워 행동이 소극적이 되기 쉬운 사람의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행동 동기부여시스템에 근거한 불안장애나 우울증 치료에 유용한 지식-

https://www.qst.go.jp/site/press/20220322.html


Brain 5-HT 2A receptor binding and its neural network related to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https://pubmed.ncbi.nlm.nih.gov/35006540/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