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지문인증 및 얼굴인증에 이은 새로운 생체인증 기술 '치아(이빨) 충돌시키는 인증' 제안. 이어폰 장착만으로 인증 가능

지문인증 및 얼굴인증에 이은 새로운 생체인증 기술 '치아(이빨) 충돌시키는 인증' 제안. 이어폰 장착만으로 인증 가능


개인을 식별하는 생체인증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스마트폰이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증과 같은 생체인증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템플대 연구팀이 치아(이빨) 문지르는 소리로 개인 식별 기술을 발표했다.

「치열 활의 형태」 「이빨사이의 틈새」 「에나멜질의 두께」 「이빨의 크기」 등은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연구팀은 사람에 따라 다른 치아의 형상에 주목해, 「이빨과 이빨을 비비대는 소리」나 「이빨과 이빨을 충돌시키는 소리」의 차이로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의 개발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이빨과 이빨을 서로 문지르는 소리」와 「이빨과 충돌시키는 소리」를 이용한 생체 인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시판의 이어폰에 마이크를 달아, 입에서 얼굴의 내부를 통해서 귀까지 닿는 소리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연구팀은 구축한 시스템에서 '이빨을 모두 비빈다' '일부 이빨을 비빈다' '이빨을 모두 충돌시킨다' '일부 이빨을 충돌시킨다'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나는 소리를 이용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22명의 피실험자에게 시작한 이어폰을 장착시켜 시험을 해본 결과 1번 소리만으로도 93%의 확률로 개인을 인식할 수 있고, 4번 소리를 내면 98.8%의 확률로 개인 인식에 성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판되고 있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은, 마이크를 이용해 주위의 노이즈를 검출해, 노이즈를 없애는 소리를 재생하는 것으로 소음의 저감을 실현하고 있다.

또,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안에는 「AirPods Pro」와 같이 고성능의 처리 팁을 내장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연구팀은 에어팟 프로와 같이 마이크나 처리 칩이 내장된 이어폰을 이용하여 별도의 기계없이 치아 소리를 이용한 생체 인증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치아의 소리가 마이크에 닿을 때까지는 턱이나 귀지선(耳道)을 통과하기 때문에, 「사진을 기초로 치아의 모형을 작성해, 인증을 돌파한다」라고 하는 공격은 곤란하다고 한다.


Ear Wearable (Earable) User Authentication via Acoustic Toothprint

https://doi.org/10.48550/arXiv.2204.07199


TeethPass: Dental Occlusion-based User Authentication via In-ear Acoustic Sensing

https://cis.temple.edu/~yu/research/Teeth Pass-Info22.pdf


Biometric Authentication by Grinding Your Teeth - Unite.AI

https://www.unite.ai/biometric-authentication-by-grinding-your-teeth/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