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미국 해군이 아음속(亜音速)으로 비행하는 드론을 고출력 레이저로 쏘아 떨어뜨리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

미국 해군이 아음속(亜音速)으로 비행하는 드론을 고출력 레이저로 쏘아 떨어뜨리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

미국 해군은 2022년 2월에 열린 고출력 레이저 방어시스템 'Layered Laser Defense (LLD)' 시연에서 아음속(亜音速) 비행 중인 드론(무인 비행기)을 레이저로 격추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LLD는 록히드 마틴이 설계하고 만든 시스템으로 드론이나 미사일을 레이저로 공격하거나 고해상도 망원경으로 공중 위협을 추적하거나 전투분석을 할 수 있다.

2022년 2월 뉴멕시코주 화이트샌즈 미사일 실험장에서 열린 시연에서는 비행 중 아음속 순항미사일을 형상화한 드론을 격추하기 위해 LLD의 고출력 레이저 무기가 사용되었다.

시연에서 표적이 된 드론은 적색으로 도장되어 있다.

레이저 무기에 의해 엔진에 손상을 입고 비행이 불가능해져 낙하산으로 하강하는 드론.

미 해군연구국은 아음속 비행 중인 물체를 전체 전기식 고출력 레이저 무기로 격추시킨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고체 레이저를 채용한 함재 레이저 무기인 'Laser Weapon System Demonstrator(LWSD)' 시험이 2020년 5월에 진행됐는데, 이번에 사용된 LLD는 전체 전기식으로 되어, LWSD에 비해 더 콤팩트하고 고출력이며 추가로 AI를 사용한 표적추적과 타겟팅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군함에서 레이저 빔으로 드론을 격추하는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미 해군이 발표한 적이 있다.

미국 해군의 산 안토니오급 도크형 수송양륙함 인 포틀랜드(LPD-27)가 배에 탑재한 레이저 무기로 드론을 격추했다고 태평양 함대가 발표한 적이 있다.

환태평양 함대 발표에 따르면 LPD 27은 2020년 5월 16일 함상에 설치된 고체 레이저 무기인 Laser Weapon System Demonstrator(LWSD)에 의한 레이저 공격으로 드론을 격추하는 데모에 성공했다고 한 것이다.

LWSD는 미국 해군 연구국 이 개발한 고출력 고체 레이저 무기로, 레이저 시스템은 군수 메이커 노스롭 그라만이 개발하고, 시스템과 선박의 통합 및 테스트는 캘리포니아州 포트 휴니메와 버지니아州 다르 글렌에 있는 미국 해군수상전센터가 주도했다고 한다. 

미 해군연구국(ONR)은 1980년대부터 레이저 무기시스템 개발을 추진해 왔다고 한다. 당초는 화학 반응에 의해서 레이저를 방사하는 화학 레이저가 연구하고 있었지만, 화학 레이저는 운용에 따르는 물류상의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실전에 대한 응용이 곤란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LLD로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는, 완전 유전기로 동작하는 전체 전기식 레이저이다. 그래서 배 위에서도 전기가 계속 공급되면 작동할 수 있고, 화약이나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고 미 해군은 말한다.

미국 해군의 로린 C. 셀비 소장은 "LLD와 같은 혁신적인 레이저 체계는 해군 전투활동의 미래를 재정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ONR의 항공·전력투사·통합방위부의 프로그램 담당자인 데이비드 킬 전 해군 대위는 "LDD는 해군에 대한 중대한 위협을 배제하기 위한 매우 고도의 레이저 시스템의 한 예이다." 미 해군은 이번 시연 결과를 토대로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Laser Trailblazer: Navy Conducts Historic Test of New Laser Weapon System > United States Navy > News-Stories

https://www.navy.mil/Press-Office/News-Stories/Article/2998829/laser-trailblazer-navy-conducts-historic-test-of-new-laser-weapon-system/


The US Navy takes down a drone with an all-electric laser for the first time

https://interestingengineering.com/us-navy-drone-electric-lase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