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현대의 연금술!? 대기 중의 CO2를 회수하여 다이아몬드를 만드는데 성공

현대의 연금술!? 대기 중의 CO2를 회수하여 다이아몬드를 만드는데 성공

대기중의 CO2(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럼, 그 여분의 CO2를 회수하고, 뭔가 다른 것에 유용하게 쓰는 방법은 있는 것일까?

미국의 인공다이아몬드 제조 스타트업 회사 에테르(Aether)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더구나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다이아몬드는 채굴된 천연 다이아몬드의 조성과 똑같다고 한다.

좀 수상쩍은 얘기 같지만 사실이라면 현대의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매우 참신한 제안이 될 수 있다.


◇ 친환경 다이아몬드란?

다이아몬드는 매력적이지만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천연 다이아몬드는 채굴을 통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어 왔다.

그럼 인공 다이아몬드는 친환경적인 걸까?

현재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천연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재현한 「HPHT(고온 고압법)」가 있다.

또한 CVD(화학증착법)라고 해서 메탄가스 등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체를 이용하여 고온저압 환경에서 만드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지구를 파지 않아도 되지만, 제조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HPHT에서는, 제조시에 많은 CO2를 배출한다.

좀더 친환경적인 인공 다이아몬드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천연 다이아몬드와 인공 다이아몬드 중에 어떤 게 더 친환경적이냐라는 의문에 대해 전문가들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그래서 에테르사는 더 친환경적인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고 싶어했다.

그들은, 지구 온난화의 원인도 되고 있는 대기중의 CO2에 주목하고, 그것들을 회수하고, 다이아몬드로 변환하려고 했다.


◇ 공기 중의 CO2로부터 다이아몬드를 만들어내는 기술은, 현대의 연금술이 되는 것인가?

에테르사가 새롭게 탄생시킨 인공 다이아몬드는, 공기중의 CO2로 만든다.

이 제조방법은, 4개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번째 단계에서는, 공기중의 CO2를 직접 회수한다.

여기에는 스위스 기업이 개발한 신기술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번째 단계에서는, 추출한 CO2를 특수한 장치로 다이아몬드에 합성한다.

기존의 「CVD(화학증착법)」에서는 메탄가스를 이용하지만, 새로운 장치에서는, CO2로 직접 다이아몬드의 작은 결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3번째 단계는 '다이아몬드의 성장'이었고, 에테르사는 '100% 청정한 에너지로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4번째 단계에서는 '전문가 컷 연마'가 진행된다.


공기중의 CO2가 최종적으로 보석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성은 천연다이아몬드와 똑같다고 하여 에테르사가 제공하는 사진에서는 기존의 다이아몬드와 손색이 없을 듯한다.

그런데 에테르사는, 이러한 4개 단계에 있어서의 자세한 제조법과 제조 비용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천연 다이아몬드가 보석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비교하면 에너지 소비가 절반으로 줄어 캐럿당 약 577L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또 「인공 다이아몬드가 1캐럿 팔릴 때마다, 대기중에서는 20톤이나 되는 CO2가 배제된다」고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환경을 구하는 기술에서는 실제 소비되는 CO2보다 배출하는 CO2가 많거나 비용 면에서 맞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다.

실제의 제조법 등이 기업비밀이기 때문에, 어디까지 진실로 받아 들여도 좋은지는 현황파악이 어렵지만, 이것이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으로서 매우 독특한 새로운 측면인 것은 확실한다.

정말로 CO2를 삭감하면서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고 하면, 온실가스 삭감에 적극적인 기업이 증가할지도 것이다.

공기로 만든 친환경 다이아몬드는 이미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면서 가치 있는 보석을 만들어 내는 편리한 기술은, 향후의 표준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Diamonds Created Out Of Thin Air Sounds Like Magic. Aether Is Doing It.

https://www.forbes.com/sites/pamdanziger/2022/03/04/diamonds-created-out-of-thin-air-sounds-like-magic-aether-is-doing-it/?sh=53c0fe7241b1


Diamonds are created from THIN AIR: Startup draws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to make stunning gems that are phy

https://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10603501/Diamonds-created-air.htm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