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팬들이 원하는 대망의 기술! 홀로그램으로 '우주정거장과의 통신'에 성공!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SF팬들이 원하는 대망의 기술! 홀로그램으로 '우주정거장과의 통신'에 성공!
홀로포테이션(Holoportation)이라는 기술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는 이름 그대로 홀로그램과 텔레포테이션을 결합한 것과 같은 기술로 인물의 3D 영상을 실시간으로 원격지에 전송하는 것이다.
2016년에 개발된 홀로포테이션은 SF 팬들이 오랫동안 원했던 기술이다.
그리고 이번에, 사상최초가 되는 지구로부터 우주 공간에의 홀로포테이션에 성공한 것이, NASA(미국항공우주국)에 의해 보고되었다.
마침내 인류의 홀로그램은 지구 밖으로 진출하는 것 같다.
◇ 인물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홀로포테이션'이란?
홀로포테이션은 2016년 미국 MSR(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에 속하는 인터랙티브 3D테크놀로지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은 카메라를 통해 인물의 고품질의 3D모델을 생성, 압축하여 실시간으로 어디에서나 라이브로 전송할 수 있는 캡처기술이다.
텔레포트와 같이, 상대의 3D영상을 원격지로부터 불러 오고, 공간을 넘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3D로 재현된 인물을 보려면 Holo Lens라는 증강현실 고글을 사용한다.
AR고글은 가상세계만 보는 VR고글과 달리 현실과 가상이 오버랩된 세상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격지에 있는 상대방이 마치 나와 같은 방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최초로 우주에 홀로그램 전송 성공
NASA는 수년전부터 holcootation에 주목하고 있어, ISS(국제우주정거장)에 있는 크루와의 연락에 사용할 수 없는가를 검토하고 있었다.
그리고 2021년 10월 8일 파트너사인 AEXA Aerospace와 협력하여 ISS로 홀로그램 전송을 실현하였다.
지구에서 우주로 홀로포트한 최초의 인류는 NASA 비행 서무(항공우주 의학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우주인의 건강관리에 종사하는 전문의)를 맡고 있는 조지프 슈미트(Josef Schmid)와 AEXA Aerospace의 CEO 페르난도 데 라 페나 룰라카(Fernando De La Pena Llaca), AEXA 연구팀이다.
ISS로 대응한 것은, ESA(유럽 우주기관)의 우주비행사 토마 페스케(Thomas Pesquet)이다.
페스케는, 2021년에, 프랑스인 최초가 되는 ISS의 선장에 취임했다.
그는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Hololens와 AEXA사의 커스텀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를 이용해 홀로그램과 실시간 대화에 성공했다.
슈미트는 「이것은, 원거리에 있는 사람끼리의 완전히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이 된다」라고 밝혔다.
우리의 육체는 거기에 없지만 우리의 존재는 분명 있다.
ISS는 지구 상공 400여 km를 시속 2만8000km로 이동하는데 홀로포테이션 시스템만 작동하면 우리는 언제든 그 장소에 갈 수 있다.
그럼 홀로포테이션은 구체적으로 어떤 용도가 계획되어 있는 것인지 알려 주시겠습니까?
◇ 지상 전문가와 저명인사를 ISS에 전송하다.
NASA는 미래의 미션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홀로포테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선구로서 이번 새로운 통신형태의 시험을 했다.
다음에 계획되고 있는 것은, 지구상의 인물을 홀로포트 하는 것과 동시에, ISS의 크루도 지구에 홀로포트하는,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슈미트는 「크루의 건강진단이나 의학적인 회의, 거기에 지상에 있는 가족과의 만남이나, VIP를 우주 스테이션에 전송 해 크루와 면회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예정」이라고 이야기한다.
또, 홀로포테이션과 증강현실(AR)을 조합한, 원격으로의 기술적 어드바이스에의 응용도 기대되고 있다.
특히, ISS의 설비가 고장났을 경우, 실제의 설계자나 수리의 전문가가, 그 자리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홀로포테이션과 AR을 사용하면 전문가가 지상에 있으면서 복잡한 작업절차를 크루 쪽에서 지시할 수 있다.
또, 홀로포테이션은, 지구상에서도 폭넓게 응용 가능한다.
극지와 전장, 의료현장, 해저의 석유굴착 등 극한적인 환경에 전문가를 홀로그램으로 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폭탄 해제에서도, 익스퍼트가 바로 옆에서 「그게 아니야, 위에서 2번째의 코드를 끊어!」라고 조언해 줄 수 있다.
홀로포테이션은 물리적인 거리와 환경을 넘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혁신적인 기술이 될 것이다.
Sci-Fi fans, rejoice! NASA "holoported" a doctor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s://www.zmescience.com/science/news-science/nasa-holoported-doctor-iss-18042022/
Innovative 3D Telemedicine to Help Keep Astronauts Healthy
https://www.nasa.gov/feature/innovative-3d-telemedicine-to-help-keep-astronauts-healthy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