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Unicode에 포함된 수수께끼의 기호 「⍼」의 기원을 쫓은 리포트가 공개 중

Unicode에 포함된 수수께끼의 기호 「⍼」의 기원을 쫓은 리포트가 공개 중

대규모 문자세트인 Unicode는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수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용해(溶解_용해되어 녹는)하는 얼굴」이나 「임신(妊娠)중의 사람」이라는 개성적인 그림 문자도 많이 등록되어 있다. 

그런 Unicode에 등록되어 있는 정체불명의 기호 「 ⍼」에 대해서,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해 배우고 있는 조나단 장이 정리했다.


U+237C ⍼ RIGHT ANGLE WITH DOWNWARDS ZIGZAG ARROW · Jonathan Chan

https://ionathan.ch/2022/04/09/angzarr.html


Unicode에 등록된 정체불명의 기호 「 ⍼」

「⍼」은 수학기호용 글꼴 등에 포함된 기호이다. 예를 들면, 수식·화학식용 폰트 「Cambria Math」에 포함되는 「 」」를 확대해 보면 이런 느낌. 열쇠 괄호 같은 직각과 번개 모양의 화살표가 결합된 일상생활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형태이다.

 이 기호에 대해서는 「평면좌표에서 X축보다 아래에 Y축이 계속 되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라고 하는 설명도 있지만, 그 진짜 용도는 밝혀지지 않았다.

조나단 장에 따르면 」이 문자세트에 등장한 것은 STIX 폰트사업이 2000년 3월(PDF파일) 제안한 문자 세트가 최초라고 한다. 이 제안에서는「⍼」에 직각과 하향 지그재그 화살표(RIGHT ANGLE WITH DOWNWARDS ZIGZAG ARROW)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또한 조나단 장이 「⍼」의 출처를 조사한 결과, 기사 작성시점에서는 해산된 비영리단체 'Association for Font Information Interchange(AFII)'가 1993년 공개한 데이터 중에「⍼」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AFI에서는 현재 가치로 8.6달러~86달러만 지불하면 누구나 문자나 기호를 등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나타내는 의미까지는 밝히지 못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공개한 지 며칠 뒤 조나단 장은 STIX 폰트 사업에 관여했던 바버라 비튼으로부터 공이 무엇을 나타내는 기호인지 알 수 없어, 알기 쉬운 이름(직각과 하향 지그재그 화살표)을 붙였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STIX 폰트 사업과 AFI가 빈틈없이 연계돼 있던 시대에 정보원을 찾지 못했다면 30년 뒤인 지금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며 조사보고를 마무리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