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없는 '아판타지아'는 무엇인가?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없는 '아판타지아'는 무엇인가?


'잠들지 못하는 밤에는 머릿속에서 숫자를 세면 좋다'고 말해 왔다.

실제로 머릿속에서 숫자를 이미지해, 하나씩 카운팅한 사람은 많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이와 같이 「머릿속에서 물건이나 경치 등을 이미지 한다」는 것은, 그냥 보통의 일이다.

그러나 개중에는 머리로 영상을 만들어낼 수 없는 아판타지아(Aphantasia)라는 상태에 시달리는 사람이 있다.

이에 최근 서서히 밝혀지고 있는 아판타지아에 대해 정리한 자료를 요약해 보았다.


◇ 뇌 속 이미지 못 만드는 '아판타지아'

사람들은 아름다운 해변을 마음속에 그리곤 한다

거기에는 수평선으로 지는 석양과 주황색으로 물든 모래사장과 야자수가 등장시킬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우리 뇌는 영화관 같다.

뇌내 스크린에서는,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색색의 정지화면이나 동영상이 차례차례로 비추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뇌 속 이미지를 만들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이 증상은 '아판타지아'라 하며, 인류학자 프랜시스 골튼에 의해 1880년에 처음 연구되었다.

그리고 골튼은 조사결과, 「영국인의 2.5%가 아판타지아이다」라고 하는 추측을 제출한 바 있다.

즉 40명 중 1명은 머릿속에서 영상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이 때의 조사는 통계적인 것이지, 증상자체를 자세하게 조사한 것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아판타지아'라는 이름은 2015년 엑세터대학 아담 제만 교수의 연구로 붙여진 것으로, 그때까지는 증상은 알려져 있었지만 명확하게 이름조차 붙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1880년의 조사로부터 시간이 흘러 2005년이 되어, 이 증상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어떤 환자가 사고로 인해서 후천으로 아판타지아의 증상을 보였다는 사례가 보고가 된 것이다.


◇ 아판타지아의 원인은 영상기억을 이끌어내는 신경회로 절단?

뇌는, 두정엽, 전두엽, 후두엽, 측두엽 등의 부위로 나누어져 있어 각각이 협력하고 있다.

그리고 뇌내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만들어지고 있다.

우선 두정엽과 전두엽이 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영상으로 꺼내도록 한다.

다음에, 그 정보를 후두엽과 측두엽이 처리한다.

그 결과, 뇌 속 스크린에는 영상이 비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2005년, 영국의 엑세터 대학(University of Exeter)에 소속하는 인지 신경학자 아담  제만은, 어느 환자로부터 「뇌내에서 시각화하는 능력이 없어졌다」라고 하는 보고를 받고 아판타지아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에는 같은 증상을 가진 20명 이상이 참가했다.

이들의 뇌를 fMRI로 조사한 결과, 두정엽과 전두엽의 활동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환자들은 꿈속에서는 선명한 이미지 체험을 할 수 있었다.

또 환자들 중에는 선천성 환타지아가 있는가 하면, 후천성인 사람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추측하고 있다.

환자들의 기억 자체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아판타지아의 원인은 뇌의 각 부분을 연결하는 신경회로의 절단일 수 있다.

혹은, 원래 신경회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아판타지아를 가진 사람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는 있어도, '뇌의 프로젝터'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그 이미지에 액세스 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럼 아판타지아의 사람은 뇌의 이미지를 비추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력과 판단력이 뒤떨어져 버리는 것인가?

사실은 꼭 그렇지도 않다고 한다.

환상적이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 파이어폭스의 창단자인 천재 프로그래머는 아판타지아였다

환타지아를 가진 사람은 논리적 사고 측면에서 뛰어난 사람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의 파악이나 분석을 잘 하기 때문에 사물을 잘 이해하고 최적의 답을 제출할 수 있다.

이것은 본래 뇌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뇌 기능이나 신경회로가 다른 분야에서 이용되기 때문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환자들은 얼굴이나 정경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사실을 문장적으로 기억하는 데는 아주 능숙하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재능 있는 프로그래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실제로 웹브라우저 파이어폭스의 창설자이자 프로그래머인 블레이크 로스는 자신이 아판타지아라고 말한다.

그는 "저는 평생 한 번도 무언가를 뇌 안에서 시각화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선명한 풍경이나 석양에 대해 쓴 책을 읽어도 머리에는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고 숫자를 세는 일 따위는 한낱 비유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판타지아는 뇌의 이미지를 상실하는 대신 다른 재능을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아판타지아에 관한 연구는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근본원인의 규명이나 치료법의 개발되지 못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나 조사가 필요하다.

"만약 자신이 아판타지아라면 '나는 다른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살리는 쪽으로 의식을 돌리는 것이 좋다."


What Is Aphantasia?

https://www.scienceabc.com/humans/what-is-aphantasia-definition-cure.htm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