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에 대해 벤처캐피털 대표가 말하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에 대해 벤처캐피털 대표가 말하다
벤처기업을 컨설턴트해 자금을 모을 수 있도록 키워주는 이색 투자 스타일을 가지고 드롭박스나 레드딧을 키워낸 것으로 알려진 'Y콤비네이터(YC)' 대표 샘 알트먼은 자신이 생각하는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에 대해 말한 것을 자사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하고 있다.
알트먼이 말한 내용의 요점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무심코 남에게 이야기하고 싶어지는 제품을
좋은 것을 만들 수 있다면 누구나 그 제품에 대해 친구에게 이야기하고 싶어진다. 이 단계에서 스타트업의 성공에 필요한 것은 80%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2: 알기 쉬워야 한다
남에게 말하고 싶어지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단순하고 설명하기 쉬운 것이어야 한다. 제품에 대해 간결하게 설명하지 못할 때, 또는 그 제품에 대해 이해하지 못할 때, 대부분의 경우 거기에는 무언가 잘못된 점이 있다.
◆3: 시장은 지수 함수적으로 성장한다
스타트업에 작은 시장을 상정하고 있어도, 그것은 급속히 성장한다. 유튜브에서는 아이폰 앱 시장이 원래는 제로였다는 점을 예로 들며 시장 동향을 주목하는 어려움을 강조하고 있다.
◆4: 진정한 트렌드와 가짜 트렌드를 구별하다
진정한 트렌드란 새로운 기술적 플랫폼이 등장했을 때 일찌감치 손에 넣은 사람들(얼리어답터)이 빠져들면서 얼마나 그것을 좋아하는지 친구들에게 말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가짜 트렌드는 사도 안 쓰거나 만족스럽지 않은 것이다.
알트먼은 진정한 트렌드였던 것으로 아이폰을, 가짜 트렌드였던 것으로 VR(Virtual Reality)을 꼽으며 "VR은 많은 사람이 화제에 올려 많은 사람이 구매했을지 모르지만 아이폰처럼 얼리어답터로부터 열렬한 반응을 받았다고는 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큰 투자를 하기 전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5: 중심 리더의 존재
스타트업에는 신의 계시를 받은 것과 같은 창설자가 빠질 수 없다. 사람들을 움직이는 구심력이 되는 존재 없이는 팀을 짜는 것은 어렵다고 알트만은 말했다.
◆6: 야심찬 비전
결코 너무 늘어나서는 안 되지만 야심을 시간과 함께 성장시키고 그것을 근본부터 실현시켜 나감으로써 사람들은 보답해 준다. 야심적인 비전은 일하는 측의 모티베이션에 공헌한다.
◆7: 간단한 스타트업은 반대로 어려워진다
2018년 실리콘밸리는 '편안한 스타트업보다 장벽이 많은 스타트업이 쉽다'는 모순적인 상황에 있다고 알트먼은 말했다. 현재는 자금조달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스타트업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충분한 재능을 집결시키기는 정말 어려워지고 있다. 회사를 설립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야심적인 비전을 많은 사람이 찬동해 참가하고 싶어지는 것으로 진화시키는 것이다.
◆8: 자신감과 명확한 전망을 가질 것
크게 성공한 기업과 창업자들에게 보여지는 특징을 거듭 생각할 때 이들은 모두 자신감을 갖고 있었고, 또한 분명한 미래 비전을 갖고 있었다며 야심에 자신감을 갖고 전망을 밝히는 것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 9: 팀의 중요성
강력한 팀을 만드는 것은 적절한 시장을 선택하는 것이나 강력한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고 알트만은 생각한다고 한다. 회사를 설립하는 것은 팀을 짜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10: 낙관주의자
세상 사람들이 스타트업이란 건 성공하지 못한다는 눈으로 볼 수 있고, 실제로 그런 말을 듣기 때문에 낙관적인 정신 없이 성공까지 계속 달리기는 매우 어렵다.
◆11: 아이디어를 낳다
아이디어맨은 많이 있으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스탄트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낳아주는 사람이 회사에 있으면 그 아이디어의 대부분이 안 된다고 해도 팀에 아주 중요한 일석을 던지게 된다.
◆12: 모르는 것은 없다
알트먼은 스타트업 초기팀으로부터 듣고 가장 마음에 드는 게 이 '모르는 게 없다(We'll figure it out)' 정신이라고 한다. 내가 적임이 아니더라도 지금까지 해결한 적이 없어도 그 문제가 회사를 죽일 수 있는 것이라고 해도 그것을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정신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 13: 최선을 다하다
마찬가지로 알트먼은 마음에 드는 말 중 하나가 '최선을 다한다(I've got it)'이다. "그건 제 관할 밖입니다"라고 대기업 등에서는 흔히 듣는 이미지가 있지만, "해보겠습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맡겨 보세요"라고 스텝업해 나갈 의욕을 보이는 사람이 스타트업 팀에서는 바람직한다.
◆14: 자기 생각으로 움직인다
스타트업 시에는 신속하게 움직인 것이 승리한다. 충분한 데이터나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결코 없는 가운데서는 우선 자신의 생각으로 움직이고, 잘 되지 않을 때는 재빨리 다른 방법으로 전환한다고 하는 스피디한 액션이 필요하다는 것.
◆ 15: 경험 부족에 축복이 있다
믿을 수 없는 일을 해나가는 스타트업 팀을 지켜본 가운데, 그러한 대처를 어렵다고 하는 사람도 불가능하다고 하는 사람도 없었다고 알트만은 말했다. 특히 스타트업 초기에는 그게 안 된다고 상정되기보다 전에 일은 일어나는 것이고 경험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미지의 해프닝에 높은 잠재력을 발휘해주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16: 기세가 중요
설립자의 가장 중요한 일은 기세를 잃지 않는 것이다. 자신의 기세에 따라 스타트업은 살아남을 수 있다. 기세를 유지하고 있으면 사람들은 최대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결과를 계속 가져오지만, 만약 한 번 기세를 잃으면 그것을 되찾기 어렵다.
◆17: 경쟁상의 유의성
YC는 스타트업 팀에 대해 장기적인 독점효과는 어떻게 됩니까? 장기적인 경쟁의 우위성은 무엇입니까? 이 비즈니스에서의 네트워크 효과는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거듭 물었다. 훌륭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사람은 이러한 질문에 대답할 수 있었다고 한다.
◆18: 유통 전략
마찬가지로 어떻게 성장하고 어떻게 사용자를 획득하는지 물었을 때 처음 의식한 모습이었다면 나쁜 징조라는 것이다. 가장 먼저 구체적인 전략을 상정해 두는 것이 중요한다.
◆19: 스타트업이 대기업을 어떻게 이길까?
스타트업 팀이 대기업을 타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과거에 어떤 예가 있는지를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해진다고 알트먼은 말했다.
스타트업 팀이 대기업에 승리할 수 있는 요인의 예로 대기업에서는 '언뜻 보기에 나빠 보이는 좋은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싶을 때 전원으로부터 'YES'를 받기 어려운 점이나 빠르게 바뀌는 시장이나 플랫폼에서 민첩성을 가진 스타트업이 유리해지는 점 등을 들고 있다.
Sam Altman – How to Succeed with a Startup
https://blog.ycombinator.com/sam-altman-how-to-succeed-with-a-startup/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