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가 초래하는 잠들기 힘든 밤으로 인해 '수면'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지구 온난화가 초래하는 잠들기 힘든 밤이 세계인의 '수면'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있다.
금년도는 벌써 북반구에서 한여름 날씨가 속출할 것으로 예보돼 '아직 5월인데도 벌써 덥다'고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낮뿐만 아니라 야간의 기온 상승으로도 이어지는 기후변화로 인해 세계 각지의 수면시간이 감소하여 건강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해 지구 온난화로 사망사고가 증가하고 기온상승에 따라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 등이 밝혀졌지만, 그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확인되지 않았다. 기온상승으로 건강에 필수적인 수면시간이나 질이 악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피험자의 자진평가에 의존하거나 지역에 치우침이 있다.
더위가 인간의 수면에 가져올 영향을 정확히 특정하기 위해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의 켈튼 마이너 등 연구팀은 가속도계를 탑재한 수면 추적 손목밴드로 수집한 익명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에 부쳐진 데이터에는 세계 68개국에 사는 4만7628명으로부터 제공된 700만 건 이상의 수면 기록이 담겨 있었다.
연구팀이 총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등 수면데이터와 해당 데이터가 수집된 지역의 기온데이터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야간 기온이 25도를 넘으면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이 될 확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시간이라는 수면시간은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면 시간의 하한이라고 알려져 있다. 분석에서는 심지어 30도가 넘는 매우 더운 밤에는 수면시간이 평균 14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14분이면 대수롭지 않게 느낄지도 모르지만, 과거의 연구에서는 「단 하룻밤의 수면부족으로도 심신에 중대한 영향이 나타난다」라고 알고 있다.
또한, 한번 수면부족이 되면 며칠 동안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회복되기 때문에 연일 열대야로 인한 만성적인 수면부족이 초래하는 장기적인 영향은 매우 커진다.
실제로 연구팀이 21가지 기후모델에서 수면부족 일수를 예측했더니 미래에는 연간 13~15일의 수면부족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자인 켈튼 마이너는 이 연구는 평균기온보다 높은 기온이 인간의 수면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행성 규모로 증명한 첫 연구가 됐다.
이로 인해 더운 날씨는 사람이 잠드는 시간을 늦추고 일어나는 시간을 빠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 기후변화가 수면시간에 가져오는 영향은 저소득국 주민이나 고령자일수록 크고 남성보다 여성이 더 영향을 받기 쉬운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는지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지만 수집된 데이터에는 에어컨의 유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연구팀은 앞으로 에어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기온상승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Rising temperatures erode human sleep globally : One Earth
https://www.cell.com/one-earth/fulltext/S2590-3322(22)00209-3
Hotter nights are already making us lose sleep-Scimex
https://www.scimex.org/newsfeed/hotter-nights-are-already-making-us-lose-sleep
Climate Change Is Depriving The Whole World of Sleep. Here's How Much We Stand to Lose
https://www.sciencealert.com/global-seep-tracking-data-reveals-we-re-all-losing-sleep-thanks-to-global-warming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