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iPhone 사용자는 Android 사용자보다 부정직하고 겸허함이 없는 것이 연구로 밝혀져

iPhone 사용자는 Android 사용자보다 부정직하고 겸허함이 없는 것이 연구로 밝혀져

Android 사용자와 iPhone 사용자의 차이에 대해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iPhone 사용자는 젊은층과 여성이 많아, 스마트폰을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하는 것이 밝혀졌다. 

또 아이폰 사용자가 부정직하다는 등의 성격차이도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영국의 링컨대학과 랭커스터대학이 협력해 2개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2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아이폰 안드로이드와 같은 스마트폰 브랜드와 이들을 사용하는 사람의 성격을 연관짓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어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530명의 안드로이드 사용자 & 아이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제 위 테스트에서 응답된 스테레오 타입에 대한 성격진단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테스트의 결과, Android 사용자는 iPhone 사용자보다 「정직」 「겸허」 「붙임성이 좋다」 「오픈한 성격」이라고 하는 특성의 수준이 높은 것이 밝혀졌다. 

다만, 동시에 iPhone 사용자보다 「외향적」수준이 낮은 것도 알려졌다. 또, 2번째 테스트에서도, 「상당수의 Android 사용자는 iPhone 사용자보다 정직하고 겸허하다」라고 하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이 조사에서는 iPhone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수가 Android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여성의 수의 2배에 달해 연령층도 iPhone 사용자는 Android 사용자에 비해 낮았다고 한다. 

또, 「다른 사람과 같은 것을 피한다」라고 하는 특성에 대해 조사했는데, Android 사용자는 iPhone 사용자보다 이 경향이 강한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iPhone 사용자는 「iPhone를 가지는 것이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하는 결론도 내리고 있다.

뉴스 사이트 CNET 취재에서 연구팀은 큰 성격차이는 아이폰 사용자들이 정직성, 겸허함에 낮은 수준을 보인 것과 정서수준이 안드로이드 사용자보다 높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한 통계모델을 작성하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헤더 쇼와는 "이 연구는 '다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성격차이'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만약 우리가 연구를 깊이 파고들어 사람들이 다운로드하고 있는 앱과 그 사람의 특성을 연관시킨다면 '스마트폰은 미니 디지털 버전 사용자 그 자체'라는 것이 밝혀질 것이다. 그래서 우리 대부분은 남에게 자기 스마트폰을 빌려주는 것을 싫어한다. 스마트폰은 주인에 대한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한다고 말했다.


What your choice of smartphone says about you | Eurek Alert! Science News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6-08/bps-wyc083116.php


Predicting Smartphone Operating System fro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bstract

http://online.liebertpub.com/doi/abs/10.1089/cyber.2016.0324


iPhone users more dishonest, says study-CNET

https://www.cnet.com/news/iphone-users-more-dishonest-says-study/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