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2천년 전의 선명한 색채가 그대로 보존된 고대 이집트의 천장화 발견!

2천년 전의 선명한 색채가 그대로 보존된 고대 이집트의 천장화 발견!

이집트 중남부의 마을 에스나에 있는 '크눔 신전'은 어떤 점에서 고고학자들의 강한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신전 안에 그려진 릴리프(부조)나 벽화에 선명한 색이 현대까지 남아 있다는 점이다.

고대 이집트의 유물에는 색칠을 한 것도 많지만, 이들은 대개 수천 년의 경년 열화로 퇴색되거나 완전히 퇴색되어 있다.

그런데 신전에서는 릴리프와 벽화가 티끌과 그을음으로 뒤덮여 있어 약 2000년 동안 색채가 보존된 것이다.

그리고 최근 독일 튀빙겐대(University of Tübingen)와 이집트 고미술관광부(MoTA) 공동연구팀은 크눔신전 내에서 새롭게 색채가 풍부한 천장화 복원에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보존상태의 좋고 치밀한 예술성에 놀랄 것이 틀림없다.


◆ 색채가 풍부한 릴리프가 복원되다

크눔신전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 전해지는 창조신 중 한 명으로 양의 머리를 가진 신 크눔에게 바쳐진 건축물이다.

건설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305~기원전 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대부분 소실되었고, 지금 남아있는 부분은 로마 제국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볼 수 있는 것은 신전의 전방 부분뿐이며, 이것은 길이 37미터, 폭 20미터, 높이 15미터 정도 됩니다.

신전 내 릴리프와 벽화는 1963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의 고대 이집트 학자 Serge Sauneron에 의해 체계적으로 기록되었다.

그 덕분에 신전에 남겨진 도상의 풍부함과 색채의 보존상태에 대해 세계 고고학자들이 주목하게 된다.

튀빙겐대와 이집트 고미술관광부 팀은 2018년부터 신전 내 릴리프 벽화 비문 조사와 세척을 통한 색 복구작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번에 신전 입구 위쪽 14미터에 있는 천장에서 화려한 릴리프를 새로 발견한 것이다.

이 팀의 크리스천 라이츠(Christian Leitz)에 따르면 일련의 릴리프에는 독수리 여신 넥베트와 코브라 여신 우아제트가 총 46개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양쪽 모두 날개를 펼친 새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머리가 대머리독수리와 코브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46구가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중 22구는 코브라 머리를 가지고 우아제트를 나타내고 있었다.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 46구의 릴리프

왜 「넥베트」와 「우아제트」가 그려졌는가 하면, 고대 이집트 초기에는, 각지에 몇개의 도시 국가가 난립해 있어, 이것이 이윽고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2개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상 이집트의 수호신이 독수리의 여신 넥베트,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 코브라의 여신 우아제트로 화신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상하 이집트의 위치관계. 남북으로 나누는 방식에 가깝지만 나일강의 상류 하류를 의미하므로 하이집트가 북쪽에 있다. / Credit: Wikipedia


그로부터 기원전 3150년경에 상이집트의 나르메르 왕에 의해 상하 이집트가 통일되고 이집트 제1왕조가 출범하였다.

그 이후 파라오들은 상하 이집트의 지배자로서 넥베트와 우아제트 쌍방의 화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넥베트는 달, 우아제트는 태양을 나타내고 더불어 파라오의 수호자와 왕권의 상징이 되었던 것이다.

이번에 드러난 넥베트와 우아제트의 색채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알려지지 않은 유형의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현재 신전 내 천장의 절반 이상과 18개의 기둥 중 8개의 세척과 기록을 완료했다.

또 팀은 신전 내에서 발견된 비문을 번역하는 계획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조사에서도 아직 보지 못한 색채가 풍부한 릴리프와 벽화가 밝혀질 것 같다.


Spectacular ceiling frescoes discovered in the Temple of Khnum at Esna

https://phys.org/news/2022-05-spectacular-ceiling-frescoes-temple-khnum.html


New Reliefs Revealed in Egypt's Esna Temple Beneath 2,000 Years of Dust

https://www.ancient-origins.net/news-history-archaeology/esna-temple-0016765


Restoration work reveals original colour and patterns in Ancient Egyptian temple

https://www.heritagedaily.com/2022/05/restoration-work-reveals-original-colour-and-patterns-in-ancient-egyptian-temple/143605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