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가축은 사람의 욕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가축은 사람의 욕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동물이 '예의 바른 사람'과 '태도가 나쁜 사람'을 제대로 구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코펜하겐대(University of Copenhagen덴마크)와 취리히공대(ETH Zurich스위스) 공동연구팀은 최근 말(馬)과 돼지가 사람 말소리의 긍정적인 목소리 음성과 부정적인 음성의 차이를 분별하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한다.

실험에 의하면, 말과 돼지는, 음성의 감정을 띤 음색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사람의 목소리에 드러난 감정은 그대로 베끼듯 동물들의 행동에도 반영됐다고 한다.


자세한 연구내용은, 2022년 5월 24일자로 과학 잡지 「BMC Biology」에 게재되었다.


◆ 말(馬)과 돼지는 태도 나쁜 사람 알아?

연구팀은 이번에 동물의 울음과 사람의 목소리를 녹음한 것을 스피커에서 내보내 동물들이 '긍정적/네거티브한 목소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테스트했다.

대상으로 한 동물은 개인 소유의 말, 연구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 그리고 스위스와 프랑스의 동물원에 있는 말, 멧돼지이다.

실험에서는 동물이 스피커 방향을 보고 있는 시간, 1분 동안 우는 횟수, 귀 위치, 꼬리 움직임과 같은 반응을 조사했다.

사람의 목소리의 소리 샘플에는, 익숙한 주인이나 사육사의 목소리가 아니고, 프로인 성우에게 의뢰해, 포지티브/네거티브한 감정을 띤 목소리를 각각 녹음하였다.

테스트는, 포지티브/네거티브한 음성 중 하나를 먼저 내보내고, 그 후 일시 정지하고, 다른 한쪽의 음성을 내보내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 돼지는 사람의 목소리에 어떻게 반응해?

그 결과 멧돼지를 제외한 모든 말들과 돼지는 자신들의 동료나 가까운 종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소리에서도 긍정/네거티브한 감정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을 띤 음색에 대한 강한 반응이 확인됐다.

돼지를 예로 들면 긍정적인 음성을 나왔을 때는 평소의 행동과 다름없이 편안한 상태로 실내를 돌아다니며 귀와 꼬리도 잘 움직이고 있었다.

그런데 부정적인 음성을 나오자마자 돼지의 움직임이 딱 멈추고 귀와 꼬리도 움직이지 않고 주변을 경계하기 시작했다.

연구 주임 엘로디 브리퍼(Elodie Briefer)는 이렇게 말했다.

부정적인 음원에 노출될 경우 말들과 돼지는 그 감정을 거울삼아 표현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 결과는 이들 가축 동물들이 사람의 목소리에 담긴 감정에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감정을 '베끼기'란 곧 '감정이 전염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공감능력'을 보여주는 첫 번째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 사람과의 관계의 깊이가 감정을 분별할 수 있는 이유인가?

또한 말들과 돼지가 사람 목소리의 감정을 식별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긴 가축화 과정 속에서 인간과의 관계를 긴밀하게 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연구팀은 사람의 감정을 잘 잡아내는 개체(말과 돼지)가 번식에 즐겨 선택됐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편 멧돼지는 인간에게 가축화되지 않은 동물로 사람의 목소리를 자신들과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연구의 성과는 우리가 동물들에게 예의 바르게 말을 하는 것이 그들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동물과 평소 밀접하게 관련된 사람은 그들 근처에서 불평하거나 욕설을 하지 않아야 할 것 같다.

연구팀은 앞으로 말들과 돼지 이외 동물의 감정반응을 살펴보는 동시에 반대로 인간이 동물의 감정음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는지도 조사할 예정이다.


Why you should speak POLITELY to animals : Horses and pigs candetect negative sounds in human speech and even mirror the emotion

https://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10848567/Horses-pigs-distinguish-negative-positive-sounds-human-speech.html


Why Politeness Matters When You Meet a Pig

https://www.lab-worldwide.com/why-politeness-matters-when-you-meet-a-pig-a-e7e6082fd38defa64d2dacad841540ce/


Cross-species discrimination of vocal expression of emotional valence by Equidae and Suidae

https://bmcbiol.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15-022-01311-5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