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간은 바닷물을 마실 수 없을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왜 인간은 바닷물을 마실 수 없을까?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물이 필수적이지만 지구상 액체의 96% 이상이 바닷물이기 때문에 인간의 수분 보충에 적합한 물은 매우 미미한다.
하지만 돌고래나 고래 등 바닷속에서 사는 포유류가 있다는 점과 머리 이외의 체모가 거의 없는 것은 인간이 바닷가에서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인간에게 바닷물을 마실 수 있어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기도 한다. 그런데 「왜 인간은 소금물에서 수분 보충을 할 수 없는 것인가?」라는 의문에 대해서, 과학계 뉴스 사이트의 Live Science가 해설하고 있다.
인간에게 바다의 물을 마실 수 없는 이유는 단순하고 바닷물은 염분이 너무 많아 신장이 기능부전이 되기 때문이다. 뉴욕에 있는 미국 자연사박물관에서 학예사를 맡고 있는 롭 데살은 Live Science에서 대부분의 동물의 신장은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바닷물을 마시면 몸에서 배출해야 할 염분을 대량으로 섭취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장은 여분의 수분이나 혈액 속의 노폐물로서 소변을 만들어 몸 밖으로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그러나 신장에서는 혈액보다 염분이 진한 소변을 만들 수 없는 반면 바닷물에는 인간 혈액의 3배 이상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인간이 바닷물을 마신 후 여분의 염분을 몸 밖으로 배출하려면 마신 바닷물과 같은 양 이상의 물을 마셔야 한다고 Live Science는 이야기 한다.
한편, 바다에서 사는 생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마실 수 없는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떼새·갈매기·펭귄 등 바다에서 장기간 사는 바닷새에게는 마신 물이 위에 도달하기 전 염분을 빼내 코에서 배출하는 염선이라는 특수한 분비선이 있다고 한다. 또한 고래와 돌고래 등 먹이로부터 수분을 공급하여 염분에 대응하는 방법을 가진 해양 포유류도 있다.
이러한 생물에 대해서, 데사르는, 「해양 포유류는, 체내에서 여분의 염분을 배출하기 위한 특별한 효소나 세포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슈퍼 신장을 갖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럼 왜 인류와 같은 육상동물이 '슈퍼 신장'을 갖고 있지 않느냐 하면, 육상동물의 조상이 되는 동물이 태고의 바다에서 육지로 진출하기 위해 담수를 마시듯 진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영장류 조상을 포함한 동물들이 바닷가에서 내륙을 향해 활동 판도를 넓히려면 호수나 강과 같은 담수가 풍부한 반면, 소금물은 거의 없다는 육상환경에 적응해야 했다.
데사르는 말미에서 보통 동물이든 영장류든 식충류든 우리 조상 대부분은 소금물에 노출되지 않게 됐다. 그래서 이 동물들은 자연 도태로 염분이 없는 물을 처리하는 능력에 특화되어 갔기 때문에 소금물을 마시면 매우 위험하고 해로운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라고 정리하고 있다.
Why can't we drink saltwater?|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32454-why-cant-we-drink-saltwater.html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