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여성이 남성보다 더 추위를 더 많이 타는 이유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추위를 더 많이 타는 이유는?

더워지면 사무실이나 집의 거실 등 여러 명이 함께 있는 공간에서 에어컨을 켜는 일이 늘어난. 그런데 같은 방에 똑같은 복장을 하고 있는데도 남성은 "이 설정 온도면 덥다"고 하고 여성은 "이 온도면 너무 춥다"고 반박하는 경우가 많다.

「왜 남성보다 여성이 추위를 더 타는 것일까?」라고 하는 의문에 대해서, 오스트레일리아 본드 대학의 건강 과학부 박사 과정에 재적하는 샬롯 펠프스 등이 설명한 내용을 요약해 보았다.

남녀 사이에는 다양한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도 실내온도에 관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온도를 선호한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펠프스 등 연구자들은 「여성이 남성보다 추위를 많이 탄다」라고 하는 경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고 있다.


◆ 남성과 여성의 육체적인 차이

남성과 여성의 체중이 비슷해도 몸의 열을 발생시키는 근육의 양은 여성이 적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남성이 같은 온도에서도 덥게 느끼기 쉽다고 한다. 또한 여성은 피부와 근육 사이에 더 많은 지방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혈관에서 떨어져 있는 부분의 피부는 더 춥게 느낀다고 한다. 게다가 여성은 기초 대사량이 남성보다 낮아 열을 생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도가 내려갔을 때 추위를 느끼기 쉽다고 말한다.


◆ 호르몬 분비의 차이

여성에서 많이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호르몬도 여성이 남성과 다른 온도 감각을 가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에스트로겐은 사지의 혈관을 확장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이 공기를 통해 방출되기 쉽다. 프로게스테론은 내장을 따뜻하게 하는 영역으로 통하는 피부 혈관을 수축시켜 심부 체온을 낮게 유지하기 때문에 여성들이 더 시원하다고 느끼게 된다고 한다.

여성의 호르몬 균형은 월경주기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의 손·발·귀 등은 남성보다 3도 정도 낮게 유지된다고 한다. 프로게스테론의 농도는 배란 후에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이 시기의 여성은 특히 시원함에 민감해진다고 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온도가 다른 것은 인간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조류와 포유류에 관한 연구에서도 수컷은 그늘이 있는 서늘한 곳에 모여 암컷과 어린 새끼들은 햇빛이 있는 따뜻한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박쥐 연구에서도 수컷은 시원한 산 정상 부근을 선호하고 암컷은 더 따뜻한 골짜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온도가 다르다는 설명으로는 암컷이 아직 체온조절을 잘하지 못하는 어린 새끼들과 함께 지내는데 더 따뜻한 기온을 선호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 따라서 열감지 메커니즘의 차이는 진화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펠프스는 말했다.


Yes, women might'feel the cold'more than men. Here's why

https://theconversation.com/yes-women-might-feel-the-cold-more-than-men-heres-why-184329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