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인류사회의 큰 진화에는 농업과 군사(철제무기&기병)가 강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

인류사회의 큰 진화에는 농업과 군사(철제무기&기병)가 강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

지난 1만년 사이에 인류사회는 거대하고 복잡하게 진화했다. 무엇이 진화를 촉구했는지는 다양한 요인이 있겠지만, 코네티컷대학 스토즈 캠퍼스의 진화인류학자 피터 타틴 등은 정량적인 검증을 위해 문화적 신진화의 이론적 틀에 근거한 일반적 역학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과 국제적 과학연구 프로젝트 Seshat: Global History Databank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과 '군사기술(특히 철제 무기와 기병) 발명·도입'의 조합이 사회 복잡화와 강한 인과관계를 갖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농업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정주인구의 증가와 분업이 가능해지고 사회복잡화가 진행됐다는 점에 대해 학자들의 의견은 일치한다고 하지만 전쟁이 사회복잡화를 촉구했다는 주장에는 대다수 고고학자들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타틴은 전쟁은 무서운 것이며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타틴 등은, 「사회의 복잡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그 사회의 영역의 크기」 「지배계급의 복잡성」 「직업 군인·사제·관료의 존재나 법전·재판제도의 복잡성 등, 정부가 어느 정도 전문화되어 있는가」라고 하는, 정량화 가능한 3가지 지표를 설정. 세계 400개 이상의 사회에 대한 정보가 모이는 Seshat에 고대생활 측면을 다양한 변수로 분석해 줄 것을 의뢰했다.

예를 들면 「12세기에 남예멘을 지배한 아이유브 아침에 풀타임의 관료는 있었나? 답:있었다, 지금의 페루근처에 존재한 와리제국의 인구는 얼마 정도 였는가?(답: 10만~50만 명)' 이런 식이다.

연구팀은 수백 개의 사회를 지역마다 30개로 나눈다. 그리고 군사진화 정도와 농업발전 상태 등 사회적 변수를 17개 버킷으로 분류해 각각의 버킷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사회의 복잡성으로 정의한 3개 지표의 성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그 결과 복잡해진 사회에서 두드러졌던 요인이 '농업'과 '군사(특히 철제무기와 기병)'였다는 것이다. 뛰어난 철제 무기를 장비하고 기병을 편성한 사회는 라이벌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나아가 상대를 압도하는 힘을 가진다. 이 경쟁이 사회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복잡해지는 싸움을 위해 계층적인 군대를 구축하고 다양한 자원과 증대되는 인구를 관리하기 위해 관료적인 정부를 조직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만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섬들에서는 '복잡화된 사회'가 수천 년 동안 번영한 사례가 있지만, 유라시아나 북아프리카에서 볼 수 있는 광대한 영토를 정복하는 거대제국은 거의 없다. 이는 정부가 계급적, 전문적이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이다.

잉카제국도 예외로 철과 말 없이 방대한 인구와 복잡한 통치를 하고 있었는데 이는 수송에 라마를 이용함으로써 경쟁자들을 압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 관여하지 않은 피츠버그대 고고학자 로버트 드레넌은 설득력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며 일정한 평가를 한 뒤 농업과 군사가 어떻게 사회를 형성해 왔는지에 대해 상당히 제한적인 고찰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사회변혁의 담당자로서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라고 평가하는 콜로라도대 볼더 캠퍼스의 인류학자 윌리엄 테일러도 본 연구에서 승마(기승)가 기원전 1000년경 폰토스 카스피해 초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정확한 연대와 장소는 아직 연구 중이고, 초기 승마사회의 상당수는 고고학적 단서를 거의 남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고고학에 크게 의존하는 Seshat과 같은 모델에서는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라고 못박고 있다.

또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의 인간행동생태학자 모니크 볼거호프 멀더도 이번 연구는 역사에 대해 혁신적인 매크로 수준의 정량적 접근을 한 것이라고 평가한 뒤 농업과 군사기술의 진보와 사회적 복잡성의 진전 사이에는 영향을 확신하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다. 군사기술은 예측인자로서 상당히 먼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전쟁이 인류사회의 복잡화에 영향을 준다고 해도 좋아할 일은 아니다. 진화에 필수적인 것은 경쟁이지 폭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Disentangling the evolutionary drivers of social complexity : A comprehensive test of hypothes

https://doi.org/10.1126/sciadv.abn3517


Does warfare make societies more complex? Controversial study says yes | Science | AAAS

https://doi.org/10.1126/science.add7042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법상 배당기산일과 배당기준일 그리고 정관의 규정

생각해 본 적도 없는 영국 왕실 만의 특별한 규칙 25가지

자연이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네 가지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