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섹스로봇 보급이 눈앞에, 법 규제로 해결해야 할 과제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고 약 절반의 미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2017년 조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로 다가온 섹스로봇을 법으로 규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음을 미네소타대학의 법학자인 Francis x.Shen가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섹스로봇의 정의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섹스로봇'에는 정의가 없다. 이것은 언뜻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 법률상 심각한 문제이다. 규제대상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금지나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앨라배마州는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금지하는 유일한 州이지만 법률상의 정의는 그 용도에 초점을 맞춘 '인간의 성기자극을 주된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 섹스로봇은 성기를 자극하는 것 이상의 목적을 가진 것도 많아질 것이다. 단순한 「성적인 자극」에 그치지 않고, 파트너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채용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Mark1이라는 미녀풍의 로봇은 일반적으로 섹스로봇으로 인식되지만 개발자인 Ricky Ma Tsz Hang는 Mark1은 섹스로봇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Mark1은 '아이 점심 준비'부터 '노인 돌보기'와 같은 다양한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간은 '성적(性的)인 것'과 '성적(性的)이지 아닌 것'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로봇이 이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하나로 '아이와 노는 모드', '어른과 노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면 정의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 어린이형 섹스로봇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州 사건에서 법원은 처음으로 성적(性的) 프라이버시 권리를 언급했다. 성적 프라이버시 권리가 확대되면서 최종적으로 성적인 장난감 판매를...

섹스로봇에 관한 법률이 진지하게 요구되고 있다

 섹스로봇에 관한 법률이 진지하게 요구되고 있다 로봇은 공업계나 산업계에서 보급되고 있으며, 개인이 로봇을 소유하는 시대도 미래에는 찾아올 것이다. 이러한 개인용 로봇 중에서도 「섹스로봇」이 보급될 때의 법률적인 문제들에 대해, 남호주법률협회가 회보에 논쟁이 되는 점들을 게재하고 있는 내용이다.  2017년 조사에서 미국인의 49%가 '로봇과의 섹스는 향후 50년 이내에 일반적일 것'이라고 응답해 섹스로봇이 미래에 보급될 것이라는 생각은 당연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섹스로봇의 보급에 있어서는, 「섹스로봇의 정의」 「어린이형 섹스로봇」 「안전성」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런 섹스로봇에 얽힌 법적인 문제에 대해 남호주법률협회가 2021년 8월호 회보에서 거론한 논란이 화제이다. 섹스로봇의 의료행위에 관한 2019년 연구에서는 섹스로봇 이용을 원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희망자들은 '사회불안을 개선하고 싶다', '하루아침 관계나 성매매에 의존하고 싶지 않다', '조루문제를 개선하고 싶다'는 동기를 가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섹스로봇은 성에 관한 불안감 해소나 고령자나 장애인에 대한 활동, 발기부전 치료, 성적 기호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에 대한 안정감 제공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한편 '섹스로봇은 여성의 사물화를 촉진하고 여성이 성폭력의 피해를 당할 위험을 높인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런 비판에 대처하기 위해 성범죄 입건 요건의 회피를 목적으로 사용자의 성적유혹을 거부하는 프로그램을 담은 섹스로봇도 호주에는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남호주법률협회가 거론한 것은 섹스로봇이 간접적으로 여성에게 영향을 준다는 견해이다.  섹스로봇에 관한 법률에 밝은 플린더스대학 매카시에 따르면 기술의 진보와 수요 증가, 국민의 관심 등의 요소에 따라 호주 정책 입안자들은 조만간 섹스로봇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매카시는 현행 ...

과학자들은 자율주행차가 확산되면 자동차 섹스가 늘어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자율주행차가 확산되면 자동차 섹스가 늘어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자율차량과 도시관광의 미래'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향후 도시관광에 자율차량(자율주행차)이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으며 영향 중 하나로 '카섹스의 증가'가 꼽고 있다.  Autonomous vehicles and the future of urban touris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8569891_Autonomous_vehicles_and_the_future_of_urban_tourism Scientists Say Humans Will Be Having A Lot Of Sex In Self-Driving Cars https://www.dailydot.com/debug/sex-self-driving-cars/ 해당 논문은 샐리대학의 스콧 코언과 옥스퍼드대학의 데비 홉킨스이 작성한 것이다.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가 보급되면서 영향을 받는 분야 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호텔이나 레스토랑이다. 이는 운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이동 중인 차량 자체가 호텔이나 레스토랑의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편의점 주차장에 세워둔 차 안에서 밥을 먹거나 공원 옆에 주차해 선잠을 자는 영업차라는 광경은 드문 광경은 아니지만 차가 자율주행을 해준다면 멈출 필요조차 없어진다.  그렇게 되면 우려되는 것이 '카섹스의 증가'이다. 단순히 카섹스라고 해도 코언 등은 차량이 성매매 장소로 이용될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라면 호텔로 이동했던 사례가 앞으로는 차 안에서 끝나게 된다.  렌터카라면 카섹스의 장이나 드래그 이용의 장이 되지 않도록 감시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한편 그러한 기능은 즉시 비활성화되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어디까지나 이 이야기는 논문 중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과연 너무 걱정스러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만, The Journal of Sex Resea...

섹스로봇 제조업체가 강조하는 장점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

섹스로봇 제조업체가 강조하는 장점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  성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쁨을 얻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인형 'Sex Robot(섹스로봇)'은 계속 진화해 나가고 있으며, 인간에 한없이 가까운 리얼함을 가진 것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섹스로봇 제조업체들이 꼽고 있는 범죄억제, 건강기여 등의 장점에는 과학적 증거가 거의 없어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이다.  섹스 테크놀로지 시장은 이미 300억달러에 도달했으며 그 시장 규모는 섹스로봇에 의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섹스로봇은 여성을 본뜬 남성용 제품이 주를 이루지만 2018년 후반에는 여성을 타깃으로 한 남성 모델도 등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섹스로봇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제조사는 주장하고 있다.  · 안전성 섹스로봇과의 유사 섹스로 성매매가 적어지고 성 감염병 위험을 낮춘다는 점에서 안전하다는 주장.  · 성범죄 억제 섹스로봇이 존재함으로써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성폭력 욕구가 표출되고 성범죄가 억제된다는 주장.  · 건강증진 동반자가 없는 독신자의 성적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생활을 실현할 수 있다는 주장. 이 '건강'에는 발기부전으로 고생하는 남성의 치료행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담겨 있다.  · 소아성애자 교정 소아성애자의 성습관을 교정하거나 성적욕구를 충족시키는 대상이 된다는 장점.  다양한 장점을 들어 섹스로봇의 사회적 의미를 어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러한 의견에는 반론도 있다.  예를 들어 성범죄 억제나 소아성애자 교정에 대해서는 성범죄자의 성적욕구가 충족되기는 커녕 성범죄 예행으로 악용될 가능성이나 사회규범에 벗어난 성행위를 정당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정반대의 의견이 있다. 또한 섹스로봇이 인간과의 섹스와 같은 욕구를 충족시켜 성매수 행위의 대체가 될지도 분명하지 않다. 건강을 증진한다는 치료적 가치...

'섹스 로봇은 인간을 지나치게 자극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경종을 울린다.

 '섹스 로봇은 인간을 지나치게 자극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경종을 울린다.  AI(인공지능)의 급격한 발달을 배경으로 인간의 삶 속에도 AI를 탑재한 로봇이 깊숙이 편입되고 있는 가운데 성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섹스로봇'이 인간에게 과도한 자극을 계속 주어 기존의 라이프스타일을 파멸로까지 몰고 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 회의에서 지적되었다.  이 지적은 2016년 12월 19일부터 20일 영국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개최된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n Love and Sex with Robots('사랑'과 '로봇과의 섹스'에 관한 제2차 국제회의) 발표 세션에서 이뤄졌다. 발표를 맡은 노르드베스트슈바이츠 전문대학의 올리버 벤델은 섹스로봇에 대해서는 기계윤리에 대한 폭넓은 의문점을 던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벤델이 말하는 '기계윤리'란 자율주행차나 챗봇, 군용드론, 그리고 개인 쾌락용 로봇 등 모든 기계를 '태어나면서 잠재적으로 도덕성을 부과받는 존재'라는 생각으로 섹스로봇이 물리적 기능에 더해 '도덕적 능력'을 갖게 해야 한다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또 이 문제는 로봇에게 '어떤 능력을 갖게 하는가'라는 기능적인 문제에 더해 '인간으로부터의 요구를 어디까지 수용할 것인가'라는 AI 판단 기준에도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 문제는 단순히 '로봇과 인간' 사이의 것이 아니라, 여기에는 '로봇을 이용한 섹스산업'의 존재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글이 전 세계의 정보를 모으고 온라인 게임이 사람들의 사행심을 부추기듯 섹스산업이 로봇을 통해 사람들의 욕망을 부추김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수준의 의존이 일어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여성용 하이테크 바이브레이터를 판매하던 기업이 사용자의 사용 데이터를 몰래 수집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

섹스용 로봇이 곧 현실로, 실현을 향한 과제는?

 섹스용 로봇이 곧 현실로, 실현을 향한 과제는? 영화 'her'나 '엑스 마키나'에서는 인간이 인공지능(AI)에 사랑을 하는 이야기가 그려졌다. 영화 속에만 머무르지 않고 현실적으로 AI를 탑재한 섹스용 로봇의 실현이 임박하고 있다며 칼럼니스트 로즈 에블레스가 BBC Future에 기고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해가 갈수록 진보하고 있으며 Rose Evelth에 따르면 "연구자들 중에는 섹스용 로봇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체스와 AI에 관한 전문가 데이비드 Levy는 자신의 저서 'Love and Sex with Robots'에서 "2050년에는 인간과 로봇의 결혼이 일반화될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미 스마트폰 앱과 접속해 사실적인 성행위에 가까운 감각을 얻을 수 있는 섹스 기구나 자유롭게 프로그램 가능하고 리모트 컨트롤 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 등은 등장하고 있다. 뉴욕대에서 인간관계와 성행위를 연구하는 Shelly Ronen는 시중에 유통되는 성인 제품을 사용하면 매우 사실적인 유사성 체험이 가능하다. 인간 파트너와의 성행위에 비해 컨트롤이 간단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섹스용 로봇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것은 일반인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울 것이라고 에버렛스는 예측한다. Eveleth에 따르면, 섹스용 로봇의 정의는, 「단순한 기구가 아니라, 성행위에 적합한 설계의 인간형 로봇으로, 게다가 단지 센서가 반응하는 것만이 아니라 「생각」이 가능한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있다」라고 한다. Eveleth가 가장 섹스로봇에 가깝다고 평가하는 것이 캘리포니아 기업 에이비시스크리에이션스가 판매하고 있는 섹스돌 'Real Doll'이다. 겉보기에는 매우 인간과 비슷해 피부색이나 호크로 등 외모의 특징을 맞춤화할 수 있다고 한다. Real Doll 전문 의사도 있을 정도로 조금씩 팬을 구축하고 있다. 다만 가격은...

남성들은 '여성들도 섹스로봇 개발을 원할 것'이라는 오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들은 '여성들도 섹스로봇 개발을 원할 것'이라는 오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면서 성적(性的)인 목적으로 이용되는 섹스로봇의 등장도 눈앞이라고 한다. 다만 섹스로봇에는 '인간을 과도하게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과 '규제를 수행하는 정의·인식의 문제'도 떠오르고 있다. 새로운 조사에서는, 「사람은 섹스로봇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파트너에게 투영한다」라고 밝혀져 남녀간에 인식의 격차가 이미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인공지능(AI)이나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가능성이 지적되는 등 앞으로 로봇의 진화로 인간사회는 크게 변모할 것으로 보이다. 이와 동시에 로봇이 인간에게 접근함으로써 '로봇의 권리는 인정되는가' '애초에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철학적인 물음도 떠오르고 있다.  섹스로봇 세계에서도 이런 물음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한 마스터베이션은 「외도」라고 간주되지 않더라도, 마스터베이션에 이용하는 것이 인간이라고 보는 외형의 섹스로봇이라면, 같은 기계 상대라도 질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사람이 로봇을 '부정행위의 상대'로 간주하는 자질이 무엇인지는 산업적으로나 철학적으로 흥미로운 물음이다.  이 점을 깊이 조사하기 위해, 노르웨이 경영대학의 마즈 노드모 어네스터드 부교수는 여성 163명, 남성 114명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했다. 피실험자들은 먼저 순애 혹은 성행위를 위해서만 디자인된 사실적인 로봇이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읽고, 그 후에 "만약 파트너가 이러한 로봇을 이용한다면 어떻게 반응할까?" "만약 자신이 이러한 로봇을 가지고 있다면 파트너는 어떤 반응을 보일 것 같습니까?"라는 설문에 답했다.  이 조사 결과 남녀의 응답에 현격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먼저 남성은 여성에 비해 "이런 ...